[Flutter] TDD로 가는 길 - 2부 TDD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기
TDD을 적용하기 위해서 가장 필수적인 부분은 테스트가 용이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. 앱을 구조적으로 만들려면 아키텍처의 각 구성요소들의 역할이 정확하게 정의되야 하고, 그들간의 의존관계가 명확해야 한다. 지금 부터 어떻게 하면 앱을 테스트하기 좋은 구조 만들 수 있는지 StatefulWidget으로 만들어진 간단한 화면을 예로 설명해보도록 하겠다. 로그인 화면 하나를 만들어 보자 . 로그인 화면이 있고 이 화면에서는 유저로 부터 Id와 password를 입력받아 서버로 인증요청을 보내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 한다. - ID는 이메일 형식만 허용한다 - PW는 최소 5자 이상이다. - 모든 입력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로그인 버튼이 활성화 된다 아직 까지 우리는 구조적으로 분리하지 않았기 때문..
Flutter
2022. 11. 1. 12:22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flutter2.0
- RenderObject
- Route
- Flutter LifeCycle
- Flutter
- Element LifeCycle
- flutter element
- flutter mvvm
- flutter 다국어처리
- Flutter3.0
- json_serializable
- Flutter TDD
- widget element
- flutter i18n
- navigator
- Widget Tree
- flutter l10n
- dart enum
- enum member
- MVVM
- freezed
- LocalKey
- dart 2.17
- FlutterEngine
- StatefulWidget LifeCycle
- Mutiple Flutter
- python3
- flutter_secure_storage
- Android
- DAR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